ㅁ [이슈] 최근 몇 년간 사모신용(private credit)이 급성장하면서
금융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 이에 사모신용의 성장이
은행 산업에 미칠 영향 등을 점검해볼 필요
ㅇ 사모신용(`23년 $1.6조)은 현재 글로벌 사모시장*($12조)의 약
13%를 차지하고 있지만 최근 들어 규모가 급증하는 추세(10년새
3배 이상 성장)
ㅁ [영향] 사모신용의 급격한 성장으로 은행과 사모신용 간의 관계가
복잡해지면서 은행 산업에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 그에 따른 은행들의
대응전략도 다양하게 전개
ㅇ (경쟁 심화 위기) 사모신용 회사들(자산운용사 등)이 자금중개 역할을
확대하면서 은행 과의 경쟁이 심화. 특히 기업금융 부문에서 사모신용과
신디케이트론의 경쟁이 격화
ㅇ (수익 창출 기회) 사모신용의 성장으로 인한 경쟁 심화에도 불구하고
사모신용 생태계 전반에 걸쳐 은행들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도
산재
ㅇ (다양한 대응전략) 은행들은 경쟁 심화에 대응하고 관련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 △협력 또는 △경쟁 전략을 채택하거나
△두 전략을 병행하기도 함
ㅁ [전망 및 리스크] 사모신용 시장의 급격한 성장 속 은행-사모신용 간 연계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이로 인한 시스템리스크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위험 요인 상존
ㅇ (사모신용 성장 지속) 사모신용 시장은 `25년에도 미국을 중심으로
빠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유럽 및 아시아 지역에서도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
* `28년 $3조(Moody’s)~$3.5조(Blackrock) 확대 전망
ㅇ (리스크 완화 요인) 사모신용의 폐쇄형 구조, 은행의 견조한 재무 상황
및 리스크 관리 등을 고려할 때 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은
제한적
ㅇ (리스크 심화 요인) 다만, 은행-사모신용 간 연계 확대, 사모신용에
내재된 위험, 급격한 성장세와 침체 경험의 부재 등 금융 불안을
키울 수 있는 요인들도 상존
ㅁ [시사점] 사모신용이 글로벌 금융 부문의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사모신용 시장에서 충격 발생 시 금융불안이 은행시스템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움. 은행권 및 규제당국의 적절한 대응이 필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