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최근 미국 및 유럽 지역 내 은행 등 금융기관들이 글로벌 기후
이니셔티브에서 탈퇴하고 ESG 펀드 출시를 축소하는 등 기후대응
추진력이 약화되는 움직임 포착
ㅇ (주요 기후 이니셔티브 탈퇴) 최근 미국 4대 은행 및 대형 자산
운용사들은 ‘적도원칙’ 및 ‘기후행동 100+’를 탈퇴했다고 밝혔고,
작년 말 유럽 일부 은행들의 경우 ‘SBTi’를 탈퇴
ㅇ (ESG 펀드 축소)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은 지난해 ESG 펀드 출시를
축소하고 기존 펀드명 에서 ESG 또는 ‘지속가능한(sustainable)’
이라는 단어를 삭제
ㅁ [배경] ①화석연료 산업 대출 축소의 어려움, ②저조한 수익률, ③그린워싱
규제 강화의 역효과, ④反ESG 공세 확산, ⑤자본규제 강화 부담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① (화석연료 산업 대출 축소의 어려움) 유럽 은행들은 SBTi의 강화된
목표에 난색. 화석 연료 산업 익스포저가 큰 미국 은행들도 관련 대출
축소의 어려움을 간접적으로 표출
② (저조한 수익률) ESG 투자가 부진한 원인은 궁극적으로 수익률 때문
이라는 지적도 제기
③ (그린워싱 규제 강화의 역효과) 주요국에서 금융상품에 대한 그린워싱
방지 규제가 도입 및 강화되면서 자산운용사들의 ESG 펀드가 위축
되는 부작용이 발생
④ (反ESG 공세 확산) 미국의 경우 공화당을 중심으로 깨어있는 자본
주의(woke capitalism)에 대한 비난 등 反ESG 공세가 점증하고
이와 관련한 금융기관의 소송 리스크도 확대
⑤ (자본규제 부담) 바젤III 최종규제안은 미국 은행들이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투자에 대해 지금보다 더 많은 자본을 축적하도록 요구하고
있어 관련 투자에 악재
ㅁ [전망 및 시사점] 주요 금융기관들이 기후대응 측면에서 속도 조절에 나선
상황에서 향후 탄소중립 달성 지연 및 지역별 격차(유럽 선도·미국 부진
등)가 지속될 가능성에 유의
ㅇ 기후변화 대응은 외부효과(externality)가 있기 때문에 은행 등 민간
기관에 자율적으로 맡길 경우 사회 최적 수준에 비해 과소 공급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규제와 지원책이 중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