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1,819
ㅁ [FX-swap, 선물환, 통화스왑 거래 급증] ’22년 6월 기준, 거래 잔액은 $97조로 ’16년말
($67조)이후 급증했으며 전세계 GDP($96조)와 유사→ 글로벌 교역($29조)의 3배이며 글로벌
대외포트폴리오 투자($81조)와 은행들의 대외 익스포져($40조)를 초과
ㅁ [유동성 경색 위험] 글로벌 금융위기나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Fx-swap
시장은 단기 달러화 유동성 경색(funding squeezes)에 취약성 노출
ㅁ [부외거래 위험] 선물환을 포함해 Fx-swap이나 통화스왑 거래가 급증해왔으나 부외거래
(Off-balance sheet)라는 측면을 고려할 때, 미국을 제외한 지역의 비은행 기업과 비미국계
은행들의 달러화 부채 규모가 과소 측정
ㅁ [시사점] FX-swap/선물환, 통화스왑 거래가 급증하며 비미국계 금융기관과 기업들의
실질적 달러채무 부담이 급증했으나, 일반부채 통계에서 제외되는 부외거래임에 따라
정책당국자들이 위기 때마다 차환에 필요한 달러화 규모와 지역 분포 파악에 난항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