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현황] 주요국 국채금리가 단기 급등하였으나 신흥국 금융시장은 비교적 안정적
ㅇ 4월 하순부터 독일 국채금리가 급등(4/20일 0.08%→5/15일 0.62%, +54bp)하고 미국 국채금리도
동반 상승(1.89%→2.14%, +25bp)
ㅇ 신흥국 금융시장에서는 `13년 금융불안(taper tantrum)* 당시와 달리 통화가치(+1.7%), 가산금리
(-20bp)가 오히려 개선(주가는 -0.04%, 선진국은 -0.1%)
* `13년 5월 Fed 버냉키 전 의장의 양적완화 축소 시사로 미 출구전략 우려가 부각
ㅁ [평가] 주요국 국채금리 상승의 영향이 제한적인 것은 신흥국들이 `13년 중반 이후 단기
금리 상승압력에 적응해왔으며 아시아·동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대외건전성도 개선된 데
기인
ㅇ `13년 중반(taper tantrum) 이후 신흥국 통화들이 꾸준히 절하되는 등 미 금리인상 움직임을
환율을 통해 선반영. Fed의 금리인상폭도 미국 경제의 성장세 둔화 등으로 당초 예상보다
축소(`15년 90bp→50bp)
ㅁ [전망 및 시사점] 주요국 금리 상승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고금리ㆍ경상수지 적자국을
중심으로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이 우려
ㅇ 신흥국들은 경화(hard currency)의 수요자로서 주요국 금리 상승의 영향이 불가피한 만큼
“주요국 금리상승→일부 취약 신흥국 불안→선진국 전반적 불안”으로의 전염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 유로존 금리는 디플레 우려 완화로 급등 이전 수준으로의 하락은 어려운 상황(Barclays)
- 총대외부채, 순대외자산 등을 감안할 때 콜롬비아ㆍ터키ㆍ남아공ㆍ브라질ㆍ페루 등의
경상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금융불안이 심화될 가능성(Goldman Sachs)
ㅇ 신흥국 불안이 정도(위기→불안) 및 범위(전면적→국지적) 측면에서 종전에 비해 제한될
것으로 보이나, 금리상승이 장기화되면 신흥국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가 악화될 소지에 주목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