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최근 하향 안정세를 보이던 글로벌 해상운송 비용이 가파른 상승세로 전환하며
팬데믹 이후 최고치를 재차 경신
ㅇ `24년 7월중 세계 컨테이너 운송비용은 5,937.4달러로 지난 1월말 단기 고점이었던
3,964.2달러를 크게 상회하며 `23년말 대비 257.5% 급등
– 상해에서 로테르담(395.9%), 제노아(295.0%), 로스엔젤레스(247.0%),
뉴욕(212.7%) 등으로 향하는 노선의 운송비용이 큰 폭으로 상승한 데 주로 기인
ㅁ [원인] 홍해사태 장기화로 컨테이너 선박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중국의 밀어내기
덤핑 수출 ▲선진국의 수입수요 확대 등으로 컨테이너 선박 수요가 확대된 데 주로 기인
ㅇ (컨테이너 선박 부족) 글로벌 해운업체들이 남아프리카 희망봉 항로로 우회함에 따라
기존 해상운송 서비스 유지를 위한 필요 컨테이너 선박 수가 실제 투입 선박 수를 상회
ㅇ (중국의 밀어내기 수출) 중국의 `24년 상반기 수출 실적이 1.71조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수출물가는 14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하락
ㅇ (선진국 수입수요 확대) 미국 등 선진국에서 여름 성수기를 앞두고 기업들이 홍해사태에 따른 물류차질 및 해운비용 상승을 우려하여 선제적으로 재고확보 및 수입확대
ㅁ [전망]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합의가 이뤄지더라도 홍해 및 수에즈 운하 항로가
빠르게 정상화할 가능성은 제한적. 현재의 빡빡한 글로벌 컨테이너 선박 수급 여건이
`24년말까지 지속되면서 글로벌 해운비용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소지
ㅇ `24년중 신규 선박이 인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홍해사태로 인한 선박 부족 상황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해 글로벌 컨테이너 선박 공급 여건이 계속 빡빡하게 유지될 가능성(Nomura)
ㅇ `24년 상반기 유럽 중앙은행들이 금리인하를 개시한 가운데 미국 연준도 하반기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선진국의 소비 및 수입수요는 점차 확대될 여지
ㅇ 더 길어진 항로 등을 감안할 경우 아시아 유럽 간 해상운송 비용은 2만달러까지 상승하여 코로나 팬데믹 당시 최고치(1.4~1.6만달러)를 상회할 우려(Sea-Intelligence)
ㅁ [시사점] 글로벌 해상운송 비용상승이 디스인플레이션 경로에 불확실성을 가중시킬 우려
ㅇ 세계 컨테이너 운송비용은 약 7~9개월 시차를 두고 아시아 생산자물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며, IMF는 해상운송 비용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상당한 영향
미친다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