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f 국제금융센터

KCIF 국제금융센터

ENG

세계경제Global Economy

신흥국

주요 아시아 국가 성장전망 특징 및 시사점
ㅁ [이슈] 내년 아시아 8개국※ 성장률은 평균 4.7%로 신흥국(4%) 보다 높은 상황에서 지역 내
     성장격차가 4%p 이상(베트남 6.6%, 싱가포르 2.4%)에 달하면서 그 배경과 전망에 관심 

         ※ 대만, 인도, 인니, 말련,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ㅁ [고성장국] 인도, 인니, 필리핀, 베트남은 제조업 생산기지와 내수시장의 잠재력을 높이는 동시에
      원자재·관광 등 국가별 특화산업을 발전시키면서 지역성장을 견인할 전망

        ㅇ (제조업 활성화) 인도, 베트남 등이 차이나+1 국가로 부상하는 상황에서 고성장국 투자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 등으로 최근 3년간 15%씩 급증. 향후에도 생산기지 기능이 활성화될 전망
        ㅇ (막대한 내수) 1억 이상의 풍부한 인구와 연간 10% 이상의 소비성장세를 바탕으로 형성된
              내수시장이 고성장국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기대(신규 진입 소비층의 80%가 아시아)
        ㅇ (특화산업(원자재, 관광) 발달) 인니의 경우 원자재 산업을 고도화하는 가운데(니켈, 알루미늄
              수출액 `19년 대비 9배, 2배↑) 베트남, 필리핀 등도 관광산업 활성화를 본격 추진할 것이 예상

ㅁ [저성장국] 대만, 싱가포르, 태국은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 등으로 대외의존도가 매우 높은 가운데
      생산도 일부 품목에 편중되면서 외부환경에 대한 취약성이 이어질 가능성

        ㅇ (높은 대외의존도) 저성장국의 경제구조가 수출에 편중(GDP 대비 무역의존도 저성장 181%
              vs 고성장 85%)되어 있어 보호무역주의 등 탈세계화에 따른 경기하방압력이 가중될 전망
        ㅇ (특정산업 편중) 태국의 관광의존도는 전세계 2배 수준. 대만, 싱가포르의 경우 경제발전
              수준이 이미 높은 가운데 수출 중 절반이 반도체, 전자제품에 치우쳐져 있어 中 과잉생산,
              글로벌 수요 변동성 등에 노출

ㅁ [종합평가] 중장기적으로는 아시아의 경제영향력이 EU를 추월할 뿐 아니라 글로벌 성장에도
      60% 이상 기여(글로벌 소비비중 10년 내 55%→65%)하면서 새로운 발전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 다만 주요국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외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

        ㅇ 아시아 지역의 긴밀해진 무역관계(지역 간 교역비중 `90년 46%→58%) 등을 감안할 때
             과거(`98년)처럼 일부 취약국 불안이 주변 고성장국으로 전이될 가능성도 상존
 
관련보고서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보안문자

KCIF 서비스 안내

  •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자물쇠  제외)
  •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용 문의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