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f 국제금융센터

KCIF 국제금융센터

ENG

세계경제Global Economy

유럽

트럼프 2.0에 따른 유럽 경제 패러다임 변화 - 트럼프 2.0 vs 폰데어라이엔 2.0 -
ㅁ [이슈] 트럼프 대통령의 연이은 대 유럽 관세 인상 발언, 유럽이 배제된 러-우 종전 협상 등으로
      미국-EU 관계가 급속 냉각되면서 EU의 경제 및 안보 환경이 급변 

ㅁ [거시정책 영향] EU 집행위는 자율성과 자립을 강조하는 내용의 “경쟁력 나침반”, 유럽
      재무장 계획을 발표. EU의 정책이 다방면에서 전환점에 도달했음을 시사

          ㅇ 무역 정책: EU는 높은 무역 개방도로 무역의 무기화에 취약. 경쟁력 나침반은 EU의
               개방성보다 자율성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의 전환, 자국 중심 정책 기조 강화를 의미
          ㅇ 방위 전략: EU는 방위 산업을 강화하지 않고 미국 등에서 무기를 수입해 왔으나
               방위 전략의 근본적 재검토가 진행. 방위예산의 대폭 증액, 유럽산 구매 조항이 핵심 
          ㅇ 환경 정책: 탈탄소 정책도 수정에 돌입. 미국에서 반 ESG 움직임이 강화되는 가운데
               EU도 현실적이고 점진적인 속도로 전환하지 않으면 경쟁력 약화가 불가피하다는 인식  
          ㅇ 재정 정책: EU는 저물가가 금리하한을 제약하는 상황에서도 재정준칙이 성장을
               제약해 왔으나 독일을 중심으로 전략적 우선순위에는 더 많은 차입을 허용하는 방안이 급물살

ㅁ [외교정책 영향] 대중 관계, 대러 제재는 미국과의 이해관계 충돌로 시험대에 오를 전망.
      중국에는 이전보다 균형잡힌 접근, 러시아와는 대립 지속 가능성

          ㅇ 대중 관계: 트럼프 1.0 이후 미국과 중국은 디커플링이 진행된 반면 EU는 무역의
               중국 의존도가 심화. 트럼프 2.0은 EU의 디리스킹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는 요인
          ㅇ 대러 제재: 미국과 EU의 러시아에 대한 인식의 괴리가 큰 가운데 미국이 대러 제재를
               완화한다면 EU의 제재 효과는 약화될 우려. 친러 극우 정당의 주류 세력화도 걸림돌

ㅁ [시사점] 트럼프 정부 정책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급속히 확대되고 속도도 가속.
      정부, 기업들은 예측 불가능성 증가 및 매몰 비용 발생 위험에 유의할 필요

          ㅇ 미국의 대중 강경 기조는 바이든 정권에서도 일관되게 유지되어 온 것으로
               위화감이 없으나, 파트너로 인식됐던 EU와 미국의 관계 악화의 파장은 상당.
                EU외 지역에서도 트럼프 정권의 일방주의에 대한 경계와 전략적 자립 필요
               인식이 커질 전망
관련보고서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보안문자

KCIF 서비스 안내

  •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자물쇠  제외)
  •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용 문의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