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if 국제금융센터

KCIF 국제금융센터

ENG

세계경제Global Economy

중국

중국경제 위기론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ㅁ [검토 배경] 최근 중국경제는 기대와 달리 대내외 수요가 위축되면서 부진. 
      일각에서는 피크 차이나론을 넘어서 경제위기에 직면할 것이라는 의견이 대두
          ㅇ (트리거 요인) △부채 확대 △부동산시장 침체 △인구 고령화 △외환수급 불안 △사회혼란 
                △미국의 견제 등 대내외 요인이 위기 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

ㅁ [中 과거 위기론] 중국경제는 과거 30여년간 뚜렷한 경제위기를 겪은 사례는 없으나 
      대내외 환경 악화 등으로 경제위기에 준하는 위기론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어 왔음

          ㅇ △`97년 외환위기 △`08년 글로벌 금융위기 △`12년 유럽 재정위기+부채문제
                △`14~`15년 자본유출 △`18년 미중분쟁 본격화 △`20~`22년 코로나 봉쇄 등이
                불안 시기로 거론
                    – 과거 대형 대외충격 위주였으나 근래 들어 국내정책 및 경제환경 관련 위기가 증가
    
ㅁ [최근 트리거 요인 평가] 개별 요인은 대체적으로 관리가능하나 단기내에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들로 관련 불안이 복합적으로 성장을 제약하는 현상이 장기화될 전망
          
(부동산시장) 장기 원리금 분할 상환 구조 등으로 단기내 거품 붕괴 가능성은 낮으나, 
                 중국경제 최대 잠재 리스크로 정부재정·투자·소비 등 경제 전반의 하방 압력으로
                 고착화될 가능성
          ㅇ (부채 리스크) 기업부채는 예금 및 자산 증가 등이 안전핀으로 작용하나, 투자 등
                 기업활동을 저해. 특히 정부재정은 팬데믹 이후 누적된 경기대응 등으로 악화되면서
                 신규 리스크로 부각
          ㅇ (인구구조 변화) 노동인구 감소 및 피부양자 증가 등이 미흡한 사회보장제도와 맞물려
                 내수 활성화를 제약하고 정부 재정부담도 가중. 다만 생산성 향상 등이 충격을 일정
                 수준 흡수 
          ㅇ (외환 불안) 대외 순자산 증가 등이 외환시장發 시스템 위기를 억제하나, 중장기적으로
                수급 불안 및 외국인자본 변동성 확대 등으로 외환정책의 어려움에 커질 가능성
          ㅇ (사회 혼란) 청년 실업 급증, 국가자본주의 등으로 現체제에 대한 반발 현상이 커지나,
                탄탄한 감시 시스템, 약한 정치참여 의식 등으로 단기내에 정치체제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음
          ㅇ (미국의 견제) 중국의 공급망 및 시장 잠재력 등 상호 의존적 경제 구조로 최악으로 치달을
                가능성은 제한적이나 기술과 대만을 둘러싸고 갈등이 심화되는 이원적 구조가
                뚜렷해질 전망

ㅁ [정책 대응] 확장적 재정정책 기조 속에서 과거와 같은 대규모 경기부양책보다 차세대 산업
       및 취약층 지원 등 “선택과 집중”의 정책을 강화

          ㅇ장기적으로도 △내수 활성화를 중심으로 안정적 경제 성장을 추구하면서도
               △과학기술 혁신 △산업구조 고도화 △녹색 산업 육성 △빈부격차 축소 등 질적 성장에 무게

ㅁ [성장 컨센서스] 주요 IB들은 금년 전망치의 하향 조정에도 불구하고 평균 5.2%의 중속성장을 기대.
       향후 매년 성장률이 약 0.4%p씩 둔화되어 `27년 3.8%내외로 예상

          ㅇ금년 수출은 위축되는 반면 소비와 서비스업이 성장을 뒷받침하고 정부 주도의 투자도
               일정 수준 유지될 것으로 기대. 장기적으로도 내수 중심의 성장으로 서서히 전환될 전망
    
ㅁ [개혁 시나리오별 전망] 중국 내외 기관은 전면적 개혁이 성공할 경우 `30년까지 5%에 육박하는
       중속성장을 지속하나 개혁 실패시 2~3% 수준을 예상 

          ㅇ중국 경제의 구조개혁과 소비 위주로의 성장방식 전환 등이 성공할 경우 `30년 장기 성장률
                5.1%를 시현하고 실패할 경우 3.1%에 그칠 것으로 평가(`40년 2.2%~5.1%)<WB>
    
ㅁ [종합평가] 중국경제가 향후 2~3년간 적어도 4% 내외의 성장을 유지하며 위기를 겪을
     가능성은 낮으나, 개혁-성장간 충돌 및 민간경제 위축 등으로 정책 추진력이 약화되면서
     경기하방 압력이 지속될 전망

          ㅇ (정책 딜레마) △부동산시장 활성화↔빈부격차 △사회보장제도 강화↔재정악화
                 △국유기업 개혁↔고용불안 △탄소규제↔성장둔화 △자본시장 개방↔외환시장 불안 등
                 산재된 정책 목표간 상충이 정책역량을 분산시키는 현상이 장기화될 가능성
          ㅇ (민간부문 위축) 특히 최근 민간 기업과 가계의 경제 심리가 과거 위기때 보다 더 크게 위축된
                측면이 있어 정부정책의 낙수 효과가 제한되면서 성장 동력이 약화될 우려
    
ㅁ [우리나라 대응방안] 對중국 디리스킹 전략을 준비하는 한편 중국 및 글로벌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시장 트렌드에도 적극 대응.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술 비교 우위 등 경쟁력
       제고가 가장 중요함을 인지할 필요

          ㅇ 중국 경제 위축 및 정책 변화가 유발할 수 있는 수요, 금융, 공급망 불안 등 차이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중국경제 규모 확대* 및 소비 위주로의 전환 추세도 적극 활용
                    * 최근 3년 성장률 위축 불구 연평균 GDP 증분은 직전 5년보다 34% 증가
                       (`24~`27년 증분: 美의 1.5배)  
          ㅇ 한편 아세안시장의 잠재력 확대, 선진국의 기술 장벽 등이 프랜드 쇼어링(friend-shoring)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 3의 신규 시장을 창출할 가능성에 주목

관련보고서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정보의 무단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보안문자

KCIF 서비스 안내

  • 정기보고서/국제금융/세계경제 보고서 전문(  자물쇠  제외)
  • 금융ㆍ경제지표 데이터 및 차트(경제ㆍ금융 전망자료 및 상세페이지 제외)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정보이용 문의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