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중국은 그동안 국유기업 개혁을 핵심 목표로 추진해 왔으며, `16년부터는 한계기업
정리, 과잉생산 축소, 효율성 제고에 역점을 두고 정책을 크게 강화
ㅇ 특히, 금년 6월에는 향후 3년을 국유기업 개혁의 중대시기로 규정하고 구조조정과 함께
혁신· 혼합경영 등 효율성 제고를 위한 3개년 행동 방안을 발표
ㅁ [성과] 인수합병 등을 통해 기업 대형화가 진전되는 등 개혁 성과가 상당 수준 가시화
ㅇ 중국 국유기업의 약진이 지속된 결과, 포춘지 선정 글로벌 500대 기업수에서 지난해 처음으로
미국을 제치고 1위로 부상. 기술 경쟁력도 제고되면서 외국기업을 빠르게 대체
ㅁ [딜레마] 국유기업 개혁추진 과정에서 △고용불안 △소비위축 △성장목표 상충
△기득권과의 유착관계 등이 주된 걸림돌로 작용
ㅇ (고용 불안) 고용 비중이 높은(약 26%) 국유기업 구조조정이 농민공 등 비정규 인력을 중심으로
실업문제를 확대시키면서 사회불안을 야기할 우려
ㅇ (소비 위축) 국유기업의 고임금 효과가 축소되고, 과거 시장경제 시스템으로의 전환 과정에서
국유기업에 전가하였던 퇴직자 복지 등 사회보장 기능도 약해져 소비 활성화를 제약
ㅇ (성장목표 상충)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 등 정책 대응으로 늘어난 유동성이
국유기업으로 집중되면서 한계기업 연명 등 상반된 결과를 초래
ㅇ (유착 관계) 지방정부와 국유기업간 복잡하게 연결된 이해관계가 적극적인 구조조정 추진을
제약. 이를 해소하기 위한 부패척결 정책도 자산의 해외 도피를 촉진
ㅁ [시사점] 향후 구조조정 추진과 지연이 반복되면서 많은 부작용이 우려되나, 중국정부의
강한 정책의지 등으로 개혁이 점차 진전되면서 우리기업과의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전망
ㅇ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한계기업의 누증된 부채 등 중국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이 노출되고
금융시장 불안도 초래할 우려(상해 A주 시가총액 중 국유기업 비중 : 38% 이상)
ㅇ 한편 중국 국유기업 대형화로 한중간 기업 규모의 경쟁력이 이미 역전된 가운데,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과의 차세대 산업 기술격차도 수년내 축소 또는 역전될 가능성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