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이슈] 최근 미국이 홍콩 보안법에 대응해 특별대우 철폐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향후
홍콩의 금융허브 기능이 와해되면서 부정적 영향이 커질 것이라는 경계감이 지속
ㅇ 미국 입장에서는 홍콩내 자국기업 피해, 무역흑자 축소 등 경제적 손실 불구 대외적으로 힘을
과시하면서 중국과의 협상 지렛대로 활용하는 한편 국내 지지율 제고 등 다방면 의도가 내포
ㅁ [홍콩 금융허브 영향] 미국이 제재를 하더라도 홍콩의 허브기능은 일정 수준 유지되나,
외국인투자자의 신뢰가 낮아지면서 기업·자본·인력 이탈 현상이 커질 가능성
ㅇ 美 제재의 직접 영향이 제한적이고, 홍콩이 장기간 구축해온 △환율 안정과 외환거래 자유 △낮은
세율 △자유로운 사업환경 △중국 관문 기능* 등의 우위가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는 의견이 다수
* 홍콩은 중국과의 경제협정(CEPA) 등으로 무역·투자의 상당 분야에서 내국인 및 최혜국 대우를
향유
ㅇ 다만, 홍콩 보안법 시행이 ‘홍콩의 중국화’로 인식되어 공정한 법제도와 투명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진 데다, 미국의 제재로 자유무역 및 금융 허브의 상징성이 손상되면서 싱가포르· 상해 등으로
기능이 점차 분산될 것을 우려
- 홍콩의 글로벌 금융허브지수(GFCI) 순위가 작년말 세계 3위에서 금년 3월 6위로 강등
ㅁ [중국경제 영향] 홍콩의 기능 약화가 중국경제 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으나, 자본
이동의 관문 역할이 훼손되면서 실물·금융·외환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어려움이 가중될 소지
ㅇ 홍콩을 경유한 직접투자(약 60%)와 수출(비중 10.5%) 및 금융투자가 위축되고, 홍콩의 자본이탈과
페그제 의구심이 커질 경우 중국의 외환 수급에도 악영향
ㅇ 특히 중국기업의 홍콩내 달러채권 발행 및 IPO 등 자금조달 창구 기능이 약화하면서 신용리스크가
증폭. 홍콩의 역외 위안화 허브기능 약화로 위안화 국제화 추진에도 차질
ㅁ [시사점] 향후 미국이 압박 수위를 낮출 여지가 있으나, 홍콩문제가 본질적으로G2의
경제적 득실보다는 헤게모니 다툼에 있는 만큼 전개 방향을 예측하기는 곤란
ㅇ 우리기업과 금융기관은 수출 및 자금조달 위축 등 홍콩發 불안에 대비하고 다른 한편 으로는
우리나라의 금융허브 기능 강화 기회로 활용할 필요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