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 [대외 위험] 美 대선 이후 위험회피성향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완화되고 있으나, 미
금리인상 경로, 중국 신용위험, 신흥국 자금유출 등과 관련 불확실성이 상당
ㅇ [미국, 금리인상 이후 경기 개선 여부] 경제주체들의 경기회복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나
생산 부진이 지속되며 경제활동 개선을 예상하는 연준 시각과 차이. 상승세를 나타내는 심리
지표 회복이 향후 美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
- 경제주체들이 12월 금리인상을 사전에 기정사실화하면서 경기회복과 물가상승 기대가
높아졌으나 산업생산 증가율이 둔화 추세를 지속하며 실물경기와 경제주체들의 기대가
엇갈리는 양상
ㅇ [중국, 채권금리 상승으로 신용위험 증대] 대내외 금융환경 변화가 채권금리 상승을
견인하면서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및 기업, 가계부문 부실이 우려
- 트럼프 행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기대, 연준의 빠른 금리인상 가능성 등이 위안화 절하를
동반한 자본유출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
- 채권시장 내 신용위험 경계감이 높아지면서 금리 추가 상승을 유발. 구조개혁, 부채
디레버리징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채권시장 유동성 경색 소지
ㅇ [신흥국, 자금이탈폭 확대] 글로벌 금리 상승에 더해 신흥국 기업이익 하락 추세가 이어지면서
투자심리가 악화되어 신흥국의 자금이탈이 심화될 가능성
- 기업이익 전망치가 플러스(+)로 전환한 미국과 이익전망치 하락세가 둔화된 유럽과는 달리,
신흥국은 하락추세 지속
- 신흥국에 대한 비우호적 투자심리와 美 금리인상에 따른 채권금리 상승 추세는 신흥국
자금흐름에 부정적 요인
ㅇ [정치적 불확실성, 소득·자산 격차 심화] 최근 주요국 선거에서의 예상외 결과가 부의
형평과 관련되어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소득·자산 배분 모두 악화
- 각국이 저성장 국면 탈피에 초점을 맞추면서 경제적 격차가 확대되어 정치적 불확실성
증가를 초래
ㅁ [시사점] 트럼프 행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기대, 美 경기개선 추세, 유가 반등 등에
힘입어 위험회피성향이 완화되었으나 중국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자금이탈 압력이
증대하는 등 시장불안 여지가 상당함에 유의할 필요
주간 Wall Street 인사이트(10.7)
2024.10.07[9월 17일 daily] 미국 고위 정책당국자 발언 등에 힘입어 9월 FOMC 50bp 인하 기대감 증가 등
2024.09.17주간 Wall Street 인사이트(7.8)
2024.07.08주간 Wall Street 인사이트(1.29)
2024.01.29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국제금융센터 직원 정보 확인
KCIF 서비스 안내
정보이용에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정보이용과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임주형 팀장 (TEL : 02-3705-6151, E-mail : jhlim@kcif.or.kr)